‘오너회사’의 큰 문제 중 하나는 이사회가 모든 주주의 이익이 아닌, 대주주의 이익만을 위해 일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들의 의사결정에는 상속세와 같이 대주주가 내야 할 세금을 한 푼이라도 아껴야 한다는 목표가 포함돼 있지요. 선대로부터 회사 주식과 지분을 물려받는 상장회사 대주주들은 주가를 낮추고 싶어 하고, 이사회는 주주환원에 인색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우리나라 상속세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힙니다. 최근 많은 전문가와 경제단체들이 높은 상속세를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유발하는 원인이자 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지요.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나라 상속세가 어느 정도인지, 무엇이 문제기에 주가 상승을 억누르는지 비사이드코리아가 알아봤습니다.
- 비사이드코리아 콘텐츠 중 일부 내용은 외부 기고로 진행됩니다. 외부 기고는 전문가 및 필진이 작성한 글로 독자분들께 정보 전달을 주목적으로 하며, 비사이드코리아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비사이드코리아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자료(이하 ‘본 자료')는 수신인을 위하여 참고로 제공되는 자료이므로 한국 자본시장법, 미국증권법 또는 기타 다른 관할권의 법령상 증권의 매수 또는 인수에 대한 청약의 권유를 구성하지 아니하며, 비사이드코리아 내 어떠한 내용도 본 자료와 관련된 계약 약정 또는 투자결정의 근거가 되거나 그와 관련하여 신뢰될 수 있는 자료는 아닙니다.
- 본 자료는 수신인을 위한 단순 정보제공을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의결권의 위임, 행사 또는 불행사를 목적으로 작성된 자료가 아니며 수신인을 상대로한 한국 자본시장법상 의결권의 공동행사 또는 의결권의 대리행사 권유를 구성하지 아니합니다.